애드센스 정책위반 수익 대체 스폰서 애드, 클릭몬 수익 후기

구글 애드센스를 통하여 수익을 얻고 계시는 많은 분들이 계십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얼마전 구글 애드센스 정책위반으로 경고가 날라와 사이트 전체 광고 중지 명령을 받았습니다. 광고를 통한 수익 모델은 애드센스를 포함해 국내에도 몇군데의 광고 업체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스폰서 애드, 그리고 오늘 소개할 클릭몬에 대해 소개 하고자 합니다.







사실 전세계적으로 블로그 광고를 장악하고 있는 구글 애드센스에 한국의 업체가 도전한다는 거 자체가 대단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에 애드센스에서 얻은 수익과 비교한다면 턱없이 부족한 게 사실입니다. 저 역시도 오늘 클릭몬 사용 하면서 수익 공개를 할텐데요. 정책 위반 안되는 선에서 그대로 공개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전 지금 애드센스에 경고를 먹고 사이트 전체 광고가 되지않고 있습니다. 애드센스에서의 정책 센터에서는 구글과 맞지않는 경우가 있다면 가차없이 광고를 중지 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애드센스의 정책위반에 조심할 부분은 클릭 무효 , 성적인 컨텐츠 를 조심해야 합니다. 저도 그래서 걸렸습니다.ㅠㅠ





답답한 마음에 저도 클릭몬을 현재 쓰고 있습니다 아예 광고를 안 넣을 수는 없으니까요. 클릭몬은 애드센드 광고 사이즈와 달리 송출 가능한 사이즈를 정해 놓고 있습니다. 크게 웹배너와 모바일 배너가 그것입니다. 웹배너 사이즈는 200*200 , 240*240, 250*250, 300*250 까지를 제공하고 세로형은 120*600 , 160*600 까지 지원합니다. 애드센스에 비해 사이즈 수가 많이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 모바일은 특이하게 전면팝업을 지원합니다. 이걸로 클릭 유도를 하는데 솔직히 전 별로더군요.


애드센스 정책위반으로 인해 수익 대체를 위해 클릭몬 수익을 공개 합니다. 정책 위반이 될만한 부분은 부득이 모자이크 처리함을 알려 드립니다.







클릭수 대비 수익금을 보면 알겠지만, 몇 십원 단위입니다. 구글 애드센스는 한 번 클릭으로 몇 백원까지 받을 수 있는데, 클릭몬 수익은 전혀 그렇지 못하군요. 하지만, 클릭몬에게 장점은 하나 있습니다. 애드센스 정책위반으로 걸릴만한 사이트는 클릭몬으로 대체를 하면 되니까 말이죠. 전략적으로 애센과 클릭몬을 같이 쓴다면 스폰서 애드나 다른 광고도 효과를 볼 것입니다. 그러나 역시 최고는 구글 애드센스 정책위반을 하지말고 수익을 내는 것이 최고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