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주휴수당조건과 계산법, 지급기준 총정리

주휴수당의 뜻과 계산법, 지급기준은 뭘까?

 

알바를 하면서 당연히 받아야 할 금액을 못받은 적은 없을까요? 시대는 변했고, 그에 따라 일하는 사람들은 변하였고, 또한 사람들의 생각또한 변했습니다. 이젠 알바한다고 사장에게 부당한 일을 당하는 사례들은 적어졌습니다. 알바, 직원 상관없습니다. 주휴수당에 모두 해당되는데, 오늘은 주휴수당조건과 주휴수당 계산법, 그리고 주휴수당 지급기준에 대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고용인과의 계약중 일주일 동안 개근을 했다는 기준으로 쉬면서 받을 수 있는 돈, 즉 일주일간 15시간이상의 근로 시간이 되었다면 쉬는 날에도 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만약 15시간이 안된다면 주휴수당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지급 받을 권리는 없습니다.

 





 

 

계약자(고용주)와의 계약한 날에 의거하여, 일주일 동안 계약자가 원한 날에 전부 출근하고 15시간 이상 일했다면 휴일에 돈을 받을 수 있겠지만, 계약한 날을 위반하면 주휴수당조건과 맞지 않기 때문에 받을 수 없습니다.

 

 

주휴수당조건은 알바와 직원과 하등 상관없이 법으로 정해져 있으나 알바하는 분들의 주휴수당 조건은 반드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애초부터 알바나 직원은 월급 자체가 일한시간 x 시급으로 계산이 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주휴수당 계산법은 주후수당 자체가 쉬는 날 돈을 받는 거니 평균치를 내서 근무시간을 정하게 됩니다. 이것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주휴수당 계산법은 달라지게 되니, 본인의 근무시간 및 일한 날짜를 반드시 확인하여 주휴수당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이란 서두에 말한 것처럼 알바나 직원들에게 모두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일주일에 15시간 일했다고 받는 것이 아닌, 고용주가 원한 시간대에 일하면서 주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에게 행당하는 것이 주휴수당 지급기준입니다. 때문에 주 5일 주 6일 일하는 것과 관계없습니다. 계약서에 따른 일과 시간을 따져 봐야 할 것입니다.

 

이것으로 알바 주휴수당조건과 주휴수당 계산법, 그리고 주휴수당 지급기준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노동자의 권리. 꼭 찾을 수 있도록 합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